직장인 미국 배당금 종합소득과세 금액 알아보기
기준 : 직장인 연말정산 완료 후,
기준 금액 : 직장인 연봉 4천만 원
기준 금융소득 : 미국 연배당 소득 연 4천만 원
<질문 1>
직장인 연말정산 완료 후, 미국 연배당 4천만 원 정도면 종합소득과세 금액 얼마 정도 나올까요?
미국 배당소득은 국외소득으로 분류되며, 국외에서 발생한 소득도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국내에서 종합소득세 대상이 됩니다. 아래는 연봉 4천만 원의 근로소득과 미국 배당소득 4천만 원을 합산했을 때의 종합소득세 계산 과정입니다.
근로소득에 대해 근로소득 공제가 적용됩니다.
과세 대상 근로소득: 40,000,000 - 28,000,000 = 12,000,000원
미국 배당소득 4천만 원에 대해 미국에서 **원천징수세 15%**가 부과됩니다.
국내에서는 이를 외국납부세액공제로 인정해 중복과세를 방지합니다.
총 과세표준: 12,000,000 + 40,000,000 = 52,000,000원
과세표준 구간세율누진공제
12,000,000 이하 | 6% | 0 |
46,000,000 이하 | 15% | 1,080,000 |
88,000,000 이하 | 24% | 5,220,000 |
총 산출세액: 5,820,000 + 1,440,000 = 7,260,000원
연봉 4천만 원과 미국 배당소득 4천만 원을 합산한 경우, 1,386,000원의 종합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부담하게 됩니다.
미국에서 이미 납부한 세금을 공제받을 수 있어 국내 세 부담은 비교적 낮아집니다.
<질문 2>
근로 외 추가소득으로 인한 건강보험료는 얼마인가요?
연봉 4천만 원의 직장인으로서 미국 배당소득이 연 4천만 원 발생한 경우, 금융소득이 연 2천만 원을 초과하므로 추가 건강보험료가 부과됩니다. 2024년 기준으로 직장가입자의 경우, 근로소득 외 금융소득에 대해 일정한 비율로 추가 보험료를 부담해야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직장인 근로소득자가 근로소득 외 미국 연배당이 2천만 원을 초과했을 때 종합소득세 및 추가 건강보험료에 대해서 알아봤다.
솔직히 직장인 대부분은 당해 연말정산을 진행한 후, 다음 해 5월 종합소득과세 대상자인 경우 종합소득세가 얼마일지? 추가 건강보험료가 얼마일지? 궁금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자료가 연말정산 이후의 계산법을 고려하지 않아 오늘은 연말정산 이후의 계산법으로 종합소득세 및 추가 건강보험료에 대해서 알아봤다.
나에게도 도움이 되었고~
누군가에게도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직장인 근로소득이 가능할 때까지 화이팅!!
근로소득 이후 경제적 자유를 위한 배당 수익을 높이기 위해 화이팅~!!
[금리인하가 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 (0) | 2024.06.21 |
---|---|
[주식투자를 할 수 밖에 없는 이유] - 주식 투자 VS 은행 예적금 수익률??? (0) | 2024.06.13 |
[지수 투자 : S&P500, 나스닥 그리고 엔비디아] (0) | 2024.06.13 |
[키움증권 : 미성년자 해외증권 개설] 지수추정 ETF SPLG 1주, SCHD 1주 매수 (0) | 2024.05.23 |
[토스증권 소숫점 투자 : 리얼티인컴(O) 1.064671주] (0) | 2024.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