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주식투자를 할 수 밖에 없는 이유] - 주식 투자 VS 은행 예적금 수익률???

경제관련

by 머니마니3 2024. 6. 13. 15:29

본문

반응형
SMALL

지금의 나는 근로소득에서 필수 지출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약 100만 원을 주식 투자 비용으로 돌리고 있다. 마음 같아서는 투자 금액을 높이기 위해 근로소득 외 추가 부수익을 위한 제휴마케팅 포스팅을 진행 중이지만 솔직히 생각만큼의 수익은 아니라 투자 금액을 높이기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결국은 현재의 근로소득에서 무조건 100만원은 정기 적금처럼?! 주식 투자 비용으로 이체하고 있으며, 금액이 적어도 약간의 부수익이 생기면 단타 수익을 위한 주식 계좌에 입금해서 용돈벌이?!처럼 단타를 진행하고 있다. 

 

이렇게 근로소득 중 필수 지출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를 주식 투자로 올인!! 하고 있다 보니, '과연 지금의 방법이 맞을까?'를 고민하게 되고 당장 손에 쥘 수 있는 현금이 없다 보니 불안할 때도 있다. 

 

그래서 순간 '지금의 나 괜찮은거야?'라는 생각에 근로소득 100%를 주식 투자와 은행 예적금에 넣었을 때 과연 수익률 차이는 어떨까?라는 생각에 확인해 봤다. 

 

알려줘 챗GPT!!

근로소득 100% 주식 투자 VS 은행 예적금 수익률 비교!!

 

근로소득을 100% 주식 투자와 은행 예적금에 각각 투자했을 때의 수익률을 비교하려면, 여러 요인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주요 요인으로는 주식 시장의 평균 수익률, 예적금 금리, 투자 기간, 리스크, 세금 등이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예상 수익률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주식 투자

주식 투자의 경우, 수익률은 크게 변동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면 미국 S&P 500 지수의 경우 연평균 약 7-10%의 수익률을 보여왔습니다. 한국 주식 시장도 장기적으로는 이와 비슷한 수준의 수익률을 기록한 적이 있습니다.

  • 장점:
    • 높은 잠재 수익률
    • 배당 수익
  • 단점:
    • 높은 변동성 및 리스크
    • 세금(양도소득세 등)

은행 예적금

은행 예적금의 수익률은 주식에 비해 낮지만,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합니다. 최근 한국의 예금 금리는 대략 1-2% 수준입니다.

  • 장점:
    • 낮은 리스크
    • 예금자 보호 (최대 5천만원까지 보호)
  • 단점:
    • 낮은 수익률
    • 물가 상승률 대비 실질 수익률이 낮을 수 있음

수익률 비교 예시

1억 원을 10년간 투자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1. 주식 투자:
    • 평균 연간 수익률 8% 가정
    • FV=PV×(1+r)nFV = PV \times (1 + r)^n
    • FV=100,000,000×(1+0.08)10FV = 100,000,000 \times (1 + 0.08)^{10}
    • FV≈215,892,500\원FV ≈ 215,892,500 \원
  2. 은행 예적금:
    • 평균 연간 수익률 2% 가정
    • FV=PV×(1+r)nFV = PV \times (1 + r)^n
    • FV=100,000,000×(1+0.02)10FV = 100,000,000 \times (1 + 0.02)^{10}
    • FV≈121,899,441\원FV ≈ 121,899,441 \원

결론

  • 주식 투자의 경우,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리스크가 큽니다.
  • 은행 예적금은 안정적이지만, 수익률이 낮습니다.

개인의 투자 성향과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반면, 예적금은 안정적인 자산 증식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합니다.

 

위의 분석을 통해 은행 예적금은 원금 보존?!이지만, 낮은 이율.... 하지만, 물가상승률을 생각하면 결국 마이너스의 굴레라는 생각이 든다. 

 

반면, 주식 투자는 비록 변동성으로 인한 하락장 리스크에 대한 부담이 크지만, 그만큼 상승장 수익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기에 길게 보면 지수는 시장을 견디는 힘이 있기에 장기적 관점으로는 주식 투자 수익률이 좋을 수밖에 없지 않을까 싶다. 

 

솔직히 질문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통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주식 투자가 은행 예적금 수익률을 이길 수 있다는 답을 들었지만 역시나 투자든 예적금이든 신중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지금 나는 앞으로의 근로소득이 언제까지 가능할지 늘 불안하기에 근로소득이 가능한 그 시점까지는 최대한 주식 투자를 통해 배당소득이든 투자 소득이든 뭔가를 발생시켜야 하기에 은행 예적금이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래도 손에 잡히는 현금은 있어야겠기에 투자 비용을 줄일 수는 없으니 부소득을 늘리기 위해 좀 더 노력해야 할 것 같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